본문 바로가기
무역실무

수입 원가 계산법 – 관세, 운송비, 부대비용까지 쉽게 정리

by mnc85 2025. 6. 23.
반응형

 

 

 

처음 수입을 시작하면 가장 혼란스러운 부분 중 하나가 바로 **“얼마에 팔아야 손해를 안 볼까?”**입니다.
수입가는 단순히 제품 가격만이 아니라, 운송비, 보험료, 관세, 통관비용까지 모두 고려해야 ‘진짜 원가’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.

이번 글에서는 수입 원가 계산법의 공식, 항목별 설명, 실전 팁을 정리해드릴게요.
초보 수입자라면 꼭 메모해두세요!


1. 수입 원가 계산 공식

가장 기본적인 수입 원가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:

수입 원가 = 제품가격 + 운송비 + 보험료 + 관세 + 부가세 + 기타비용

이제 항목별로 하나씩 살펴볼게요.


1️⃣ 제품 가격 (FOB or CIF 기준)

  • FOB 가격: 선적항까지의 비용만 포함
  • CIF 가격: 운송비와 보험료까지 포함한 가격
    ※ 관세는 대부분 CIF 가격을 기준으로 부과됩니다.

2️⃣ 국제 운송비 & 보험료

  • 항공인지 해상인지에 따라 비용이 달라집니다.
  • CIF 조건이 아닐 경우, 이 항목을 직접 추가해야 합니다.
  • 보험은 보통 물류 대행사에서 자동 부과되며, 금액은 낮은 편입니다.

3️⃣ 관세

  • HS CODE에 따라 관세율이 달라짐
  • 예: 의류 13%, 가방 8%, 전자기기 0% 등
  • 관세청 유니패스에서 확인 가능

 

👉 관세율 조회 바로가기


4️⃣ 부가가치세 (VAT)

  • 관세 포함 금액에 10% 일괄 부과
  • 부가세 = (제품가격 + 운송비 + 보험료 + 관세) × 10%

5️⃣ 통관 수수료 및 부대비용

  • 관세사 수수료, 검사비, 검역비 등
  • 건당 3만 원~10만 원 내외 발생
  • 통관 누락 시 보세창고 보관료도 추가 발생 가능

2.  실전 예시로 보는 수입 원가

예시: 중국에서 의류 제품 수입 (1,000달러)

항목금액 (USD)
FOB 가격 1,000
해상운송비 100
보험료 10
관세 (13%) 143
부가세 (10%) 125.3
통관 수수료 등 50
총 수입원가 1,428.3
 

👉 이 제품을 국내에서 1,500달러 이상에 판매해야 수익 발생


3. 수입 원가 계산 팁

  • 제품 단가가 낮더라도 운송비와 수수료가 비중이 크면 수익이 줄어듬
  • 수량이 많아질수록 건당 통관비용은 낮아지는 구조
  • 초기 수입은 최소 3배 이상 마진 구조를 확보해야 리스크 대응 가능

수입 비즈니스는 가격 경쟁력 싸움입니다.
원가를 정확히 계산하고 나서야 판매가와 수익 구조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.

 

다음 글에서는 알리바바 셀러와 협상 시 꼭 써야 할 영어 메일 예문 모음을 제공해드릴 예정입니다.

알리바바 셀러와 협상 시 꼭 써야 할 영어 메일 예문 모음


🌍 무역과 경제를 연결하는 현실 밀착 블로그 – 비전
실전 무역 정보, 청년 정책, 창업 자금 이야기까지 한눈에!
처음 시작하는 사람도 쉽게 따라올 수 있는 친절한 가이드입니다.

반응형

비전 무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