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입을 처음 해보려는 분들이 제일 먼저 궁금해하는 건
"수입 절차가 도대체 어떻게 돌아가는지"에 대한 전체 흐름이에요.
저도 처음엔 알리바바, 1688 이런 플랫폼을 보면서
“그냥 물건 사고 송금하면 되는 거 아냐?”라고 생각했었는데,
막상 해보니 은근히 단계도 많고 준비할 것도 꽤 있더라고요.
그래서 오늘은,
**처음 무역업을 시작하는 분들 기준**으로
복잡해 보이는 수입 절차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
📦 실제 흐름 순서대로 간단하고 쉽게 정리해드릴게요!
---
✅ 수입 절차 전체 흐름 요약
수입은 크게 보면 **다음 6단계**로 구성돼요:
1️⃣ **수입 물품 조사 및 거래처 찾기**
→ 1688, 알리바바, 타오바오 등에서 상품 조사
→ 제품 사양, MOQ(최소 주문 수량), 가격 협의
2️⃣ **견적 및 계약서 작성**
→ 공급자와 거래 조건 협의
→ 인보이스(견적서) 및 계약서 수령
3️⃣ **결제 및 송금**
→ 외환통장에서 USD, CNY 등 송금
→ 송금 내역은 나중에 통관 자료로도 활용됨
4️⃣ **해상 또는 항공 운송**
→ 포워더(운송사)를 통해 운송 예약
→ BL(선하증권) 또는 AWB(항공화물운송장) 발급
5️⃣ **수입 통관**
→ 관세사 또는 포워더가 통관 대행
→ 세금 계산 및 납부, 필요시 검역 등
6️⃣ **국내 창고 입고 및 배송**
→ 통관 완료 후 국내 배송
→ 창고 입고 or 택배 출고, 판매 준비
---
💡 초보자를 위한 이해 팁
- ✅ 꼭 알리바바에서 살 필요는 없어요.
제품 소싱은 네이버, 유튜브, 커뮤니티 등 다양한 경로도 가능해요.
- ✅ 포워더는 "배송대행+통관대행"을 모두 도와주는 역할이에요.
초보일수록 포워더의 역할이 정말 중요해요.
- ✅ 모든 수입은 “신고”가 필요해요.
아무리 작은 금액이라도 관세청 통관을 거쳐야 정식 수입입니다.
---
✍️ 수입 전 준비할 필수사항
| 준비 항목 | 이유 |
|------------|------|
| 사업자등록 | 수입은 개인보다 사업자 명의로 진행하는 게 기본 |
| 고유번호 발급 | 수출입신고를 위한 필수 식별번호 |
| 외환통장 개설 | 해외 공급자에게 송금할 수단 |
| 포워더 연결 | 운송+통관 대행 파트너 확보 |
| 상품조사 | 사입 전 상품 경쟁력, 인증 여부 등 확인 |
---
🧾 마무리 요약
✔️ 수입은 “제품 찾기 → 송금 → 운송 → 통관” 순서
✔️ 사업자등록·고유번호·외환통장은 선행 준비 필수
✔️ 포워더와 계약하면 초보자도 쉽게 수입 가능
---
다음 글에서는
👉 **수입하려는 상품에 인증이 필요한지 어떻게 확인하는지**,
초보자가 자주 실수하는 사전 조사 팁을 알려드릴게요!
📦 무역 입문자를 위한 실전 블로그 시리즈
처음은 복잡하지만, 한 번만 정리하면 다음부터는 쉽습니다 😊
'수입 실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마트스토어, 쿠팡에 수입 상품 판매하기 – 무역 실전 연결 가이드 (0) | 2025.04.20 |
---|---|
사입대행과 배송대행, 수입 초보자를 위한 핵심 개념과 활용법 (0) | 2025.04.19 |
1688 vs 알리바바 – 수입 플랫폼 비교와 활용법 (0) | 2025.04.19 |
무역 초보자를 위한 수입 용어 총정리 – 필수 개념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(0) | 2025.04.18 |
무역업 초보를 위한 외환통장 만들기 – 수입을 위한 첫 준비 (0) | 2025.04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