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처음 무역업을 시작하면
가장 먼저 헷갈리는 게 ‘용어’예요.
BL, FOB, 관세, 포워더, C/O…
단어만 보면 너무 어려운데,
실제로는 알고 보면 다 우리 일상에 닿아 있는 개념이에요.
그래서 오늘은 **무역 초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수입 관련 용어 15개**를
최대한 쉽게, 한 줄 설명으로 정리해드릴게요!
---
1. 📦 무역 초보 필수 용어 15선
| 용어 | 의미 |
|------|------|
| **수입(Import)** | 해외에서 상품을 들여오는 행위 |
| **수출(Export)** | 국내에서 해외로 상품을 판매하는 행위 |
| **포워더(Freight Forwarder)** | 운송+통관을 대행해주는 전문 업체 |
| **통관(Customs Clearance)** | 세관에서 수입물품을 신고하고 세금 내는 절차 |
| **관세(Duty)** | 수입물품에 부과되는 세금 |
| **부가세(VAT)** | 수입물품에도 붙는 10%의 세금 (국내와 동일) |
| **수입신고필증** | 정식 수입이 완료되었다는 세관의 승인 서류 |
| **고유번호** | 무역업체에 부여되는 고유 식별번호 (수입신고 필수) |
| **HS코드** | 물품 분류번호, 세금 계산과 통관 기준 |
| **인보이스(Invoice)** | 공급자가 발행하는 견적서 또는 청구서 |
| **패킹리스트(P/L)** | 수입되는 물품의 목록과 수량이 적힌 리스트 |
| **B/L (선하증권)** | 선박을 통한 수입 시 운송 확인서 (물품 소유권 서류) |
| **AWB (항공화물운송장)** | 항공 운송 시 쓰는 운송 확인서 |
| **CIF / FOB 조건** | 운송비, 보험료 포함 여부를 명시한 거래 조건 |
| **C/O (원산지증명서)** | 상품의 제조 국가를 증명하는 서류 |
---
2.💡 용어 이해 팁
- 용어 하나하나가 **수입 절차에서 특정 단계와 연결**돼 있어요.
- 예를 들어, BL은 통관할 때 필요하고, HS코드는 세금 계산할 때 사용됩니다.
- **실제로 써보면, 외우지 않아도 저절로 익혀집니다.**
---
3.🧠 이렇게 정리하면 좋습니다
✅ “용어 – 의미 – 언제 쓰이는지” 3단계로
간단하게 정리된 표를 만들어서
블로그 글 외에도,
👉 전자책, 실무 매뉴얼로 활용 가능해요.
---
🧾 마무리 요약
✔️ 수입 실무는 용어 이해부터 시작
✔️ 처음엔 헷갈리지만, 절차와 연결해보면 자연스럽게 익숙해져요
✔️ PDF로 출력해서 옆에 두고 보면 더 편해요!
---
다음 글에서는
👉 **수입하려는 상품에 인증(예: KC인증, 안전인증)이 필요한지 확인하는 방법**
처음 수입 전 꼭 확인해야 할 포인트를 정리해드릴게요!
📦 무역 입문자를 위한 실전 블로그 시리즈
하나하나 알아두면 수입이 훨씬 쉬워집니다 😊
📦 무역 입문자를 위한 실전 정보 블로그 – 비전
수출입 절차, 알리바바 활용법, 관세 계산까지
초보자도 이해하기 쉽게 정리된 무역 실무 가이드입니다.
반응형
'무역실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입대행과 배송대행, 수입 초보자를 위한 핵심 개념과 활용법 (0) | 2025.04.19 |
---|---|
1688 vs 알리바바 – 수입 플랫폼 비교와 활용법 (0) | 2025.04.19 |
수입 제품 인증 확인 방법 – KC 인증부터 필수 확인 절차까지 (1) | 2025.04.18 |
수입절차 완전정리 – 무역 초보자를 위한 수입 흐름 한눈에 보기 (0) | 2025.04.17 |
무역업 초보를 위한 외환통장 만들기 – 수입을 위한 첫 준비 (0) | 2025.04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