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중국, 일본에서 소량으로 물건 수입하고 싶은데 관세는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?”
초보 수입업자, 1인 창업자, 스마트스토어 판매자라면 한 번쯤 고민해본 질문입니다.
✅ 답은 ‘관세 간이통관 제도’에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소량 수입 시 유리한 관세 간이통관 제도의 개념, 적용 조건, 중국·일본 사례, 주의사항까지 실전 정보로 정리합니다.
1. 관세 간이통관 제도란?
관세 간이통관 제도는 소액·소량 수입 물품에 대해 간단한 절차와 간이세율로 통관할 수 있도록 만든 제도입니다.
✔️ 대상:
- 자가사용 목적 소액 물품
- 소규모 상업 목적 물품 (소규모 온라인몰, 개인 판매 등)
✔️ 법적 근거: 관세법 제248조
→ 복잡한 일반통관 대신 간소화된 세율, 절차 적용 → 비용·시간 절감
2. 적용 기준
✅ 과세가격(상품가격+운임+보험료)이 150달러 이하 (미국발 200달러 이하)
✅ 식품, 건강기능식품, 의약품, 화장품, 동물성 제품 등은 간이통관 제외 → 일반통관 필요
✅ 동일 수취인 반복 수입 → 상업용 간주 → 일반통관 전환 가능
3. 중국 간이통관 사례와 적용 주의사항
중국 도매몰(1688, 타오바오, 알리바바)에서 개인 구매 → 국내 판매 목적 수입 시:
✅ 한 번에 $100 상당 여성 의류 10벌 수입 → 간이통관 적용 (자가사용, 소량)
✅ 같은 의류를 한 달에 5~6회 반복 수입 → 세관에서 상업용 간주 → 일반통관 전환 → 사업자등록 및 세금 신고 필요
✔️ 중국산 화장품, 건강식품 → 원칙적으로 일반통관 → 식약처 수입신고·검역 필요
👉 중국 의류, 잡화 → 간이통관 가능성 높음
→ 화장품, 식품류 → 간이통관 불가
4. 일본 간이통관 사례와 적용 주의사항
일본 온라인몰(라쿠텐, 아마존 재팬)에서 개인 구매 → 국내 판매 목적 수입 시:
✅ 일본산 주방용품 $120 상당 수입 → 간이통관 적용 가능 (자가사용)
✅ 일본산 나리타 간장 10병 → 식품류 → 간이통관 불가 → 일반통관 + 식약처 수입식품등 신고 필요
✔️ 일본산 가방, 문구류 → 간이통관 가능
→ 일본산 식품, 건강기능식품 → 일반통관
5. 간이통관 절차
1️⃣ 국제특송업체(EMS, DHL, FedEx) 이용 → 자동 간이통관 신청
2️⃣ 세관 검사 → 간이세율 적용 → 납부 안내
3️⃣ 간이세율 8% + 부가세 10% → 납부 → 통관 완료 → 배송
※ 세금 계산 시 관세청 해외직구 과세 사이트 활용 추천
6. 주의사항 & 실전 팁
✔️ 간이통관은 면세가 아님 → 세금 발생 가능
✔️ 반복·대량 수입은 상업용 간주 → 일반통관 전환 → 사업자등록 필수
✔️ 화장품, 식품, 의약품 → 간이통관 불가 품목 → 사전 확인 필요
✔️ 스마트스토어, 네이버스토어 판매 시 → 원산지표시, KC인증, 통관 증빙 필수
예시:
👉 중국산 의류 5벌씩 1~2회 소량 수입 → 간이통관 → 세금 납부 → 스마트스토어 판매 가능 (단, 표시의무 충족)
👉 일본산 건강기능식품 → 수입불가 or 일반통관 필요 → 식약처 수입신고 필수
7. Q&A – 자주 묻는 질문
Q. 중국·일본에서 개인이 매월 3~4회 수입해도 간이통관 가능할까요?
A. 반복 수입 시 세관에서 상업용 간주 → 일반통관 전환 → 세금·사업자등록 요구 가능성 ↑
Q. 일본 식품류는 간이통관 가능할까요?
A. 불가. 식품류는 일반통관 → 수입식품등 신고 필요.
Q. 중국 도매몰(1688)에서 의류 소량 구매 후 판매 가능할까요?
A. 간이통관은 가능하나 반복·대량 시 상업용 간주 → 일반통관 + 사업자등록 필요.
8. 결론
✅ 중국·일본 수입이라도 품목·수량·빈도에 따라 간이통관 적용 여부가 다릅니다.
✅ 소량 창업, 리셀러라도 간이통관 기준·제외품목·세금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고 진행해야
추후 세관 문제, 세금 추징 리스크를 피할 수 있습니다.
👉 다음 글 예고: 한국에서 판매 금지된 제품 유형 – 수입 초보자가 주의할 점 (2025년 최신 리스트 포함)
📦 무역 입문자를 위한 실전 정보 블로그 – 비전
수출입 절차, 알리바바 활용법, 관세 계산까지
초보자도 이해하기 쉽게 정리된 무역 실무 가이드입니다.
'무역실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무료 무역 사이트 TOP 10 – 2025 최신판 | 알리바바부터 관세청까지 (2) | 2025.05.20 |
---|---|
한국에서 판매 금지된 제품 유형 – 수입 초보자가 주의할 점 (2025년 최신 리스트 포함) (0) | 2025.05.19 |
원산지 표시제도 & 원산지 증명서 발급 완전 정리 – 수입자라면 꼭 알아야 할 필수 가이드 (1) | 2025.05.17 |
2025년 수입 트렌드 예측 – 인기 품목과 유망 아이템 분석 (7) | 2025.05.16 |
해외 전시회 참가 가이드 – 무역업자가 시장을 넓히는 방법 (뷰티 박람회 포함) (3) | 2025.05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