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무역 Q&A & 실전 팁

무역업 업종코드와 HS CODE는 다릅니다 – 헷갈리는 수출입 코드 구분법

by mnc85 2025. 4. 25.

 

무역업을 처음 시작할 때,
‘업종코드’도 듣고 ‘HS CODE’도 들었는데… 뭐가 뭔지 헷갈리셨죠?

두 용어는 모두 ‘코드’지만,
완전히 다른 목적과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.

이번 글에서는
무역 초보자들이 가장 많이 헷갈려하는
‘무역업 업종코드’와 ‘HS CODE’의 차이점을
쉽고 명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.


✅ 무역업 업종코드란?

사업자등록 시 선택하는 코드로,
국세청에서 사업의 업종 분류를 위해 사용하는 코드입니다.

예시

  • 무역중개업: 46691
  • 전자상거래 소매업: 47912
  • 수입도매업: 46491

이 코드는 세무서, 홈택스, 정부지원사업 신청 시 사용됩니다.
실제 상품 분류, 관세, 수입 신고 등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.


✅ HS CODE란?

HS CODE(Harmonized System Code)는
국제 통일 품목 분류 체계로,
수출입 제품을 통관·관세 적용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코드입니다.

예시

  • 6109.10.0000 → 면 티셔츠
  • 8471.30.0000 → 노트북
  • 9503.00.9090 → 기타 완구류

관세청, 세관, 수입신고, 인증 여부 판단 등에 사용되며,
상품이 수출입될 때 세율, 수입제한, 인증 필요 여부까지 이 코드로 결정됩니다.


✅ 두 코드의 핵심 차이

  • 업종코드는 ‘사업자 등록용’
  • HS CODE는 ‘제품 통관용’
항목무역업 업종코드HS CODE
목적 사업자 업종 분류 상품 분류 및 통관 기준
발급기관 국세청, 홈택스 관세청, UNI-PASS
자릿수 5자리 10자리 이상
사용처 세무, 정부지원 관세, 인증, 수입신고

✅ 예시로 이해하기

당신이 티셔츠를 수입한다고 가정해볼게요.

  • 사업자등록 시 업종코드: 수입의류 도매업 (46491)
  • 통관 시 HS CODE: 6109.10.0000 (면 티셔츠)

→ 업종코드는 ‘당신 회사의 성격’,
→ HS CODE는 **‘당신이 수입하는 상품의 정체’**를 나타냅니다.


✅ 실전 팁

  • 사업자등록 시 업종코드는 홈택스에서 선택 (도소매업, 무역업, 전자상거래 등)
  • HS CODE는 관세청 UNI-PASS 또는 품목분류 포털에서 검색

https://unipass.customs.go.kr

  • 헷갈릴 땐 이렇게 외우세요!
    업종코드는 나, HS CODE는 제품

 


✅ 마무리 정리

구분업종코드HS CODE
용도 사업자등록용 수입통관용
기관 국세청 관세청
시스템 홈택스 UNI-PASS
실무영역 세무, 지원사업 관세, 인증, 수입신고

무역을 처음 시작하면 복잡한 용어들이 많지만
업종코드와 HS CODE는 완전히 다르다는 것만 명확히 기억해두세요.

✔️ 사업자등록은 업종코드
✔️ 수입신고는 HS CODE

👉 다음 글에서는
스마트스토어에서도 무역업 업종코드가 필요할까? – 온라인 수입 판매자를 위한 팁 도 함께 소개해드릴게요 😊